RPC² 고대운동 통과의례

🌀Swing Together, Live Stronger

힘의집은 운동의 명상화化, 명상의 운동화化를 위한 시도로 RPC² 고대운동 통과의례를 만들었습니다. 몸과 마음의 힘을 동시에 기를 수 있는 객관적 기준과 함께, 남녀노소 누구나 참여할 수 있도록 단계를 섬세하게 구분하여 제작됐습니다. 이를 통해, 많은 사람들의 몸과 마음이 튼튼해지기를 기원합니다.

RPC²

힘의집 주인장 한얼은 ‘리추얼–프랙티스–챌린지–세레모니’라는 순환적 체험이 몸과 마음을 동시에 단련한다는 개인적 통찰에서 출발해 RPC² 통과의례를 구상했습니다. 페르시안밀은 원형적 리추얼의 몰입을, 메이스벨은 정교한 기술 연마의 중요성을, 케틀벨은 한계를 돌파하는 도전 정신을 일깨워 주었습니다. 여기에 펠든크라이스 메소드가 더해져, 모든 수련의 중심에 ‘알아차림’이 자리해야 한다는 깊은 가르침을 얻었습니다.

흥미롭게도 방망이-페르시안밀은 이란 주르카네 리추얼, 철퇴-메이스벨은 인도 아카라 수련(프랙티스), 무게추-케틀벨은 러시아에서 현대적 스포츠 문화(챌린지), 의식적 도구-알아차림은 펠든크라이스 메소드 ’움직임을 통한 알아차림‘이라는 수업으로 특히 이스라엘에 자리 잡았습니다. 이렇게 전혀 관계없어 보이는 전통과 사상이 RPC²으로 통합되는 모습입니다.

RPC²는 원형적인 도구 및 기능을 활용하는 운동 문화 속에서 성장의 원리를 발견하고 체화하며, 이를 인류학·소마틱스·퍼포먼스 이론과 결합해 통합적인 수련 모델로 제시합니다. 이를 통해 누구나 몸과 마음의 조화를 이루고, 깊이 있는 존재감을 길러 가길 바랍니다.

🌀고대진자운동

페르시안밀 Persian Meels
메이스벨 Macebell
케틀벨 Kettlebell

‘고대진자운동은 가장 강력한 고유 감각 훈련이다. 페르시안밀이나 메이스벨 혹은 케틀벨의 스내치와 같은 고대진자운동은 기본적으로 자연스러운 진자운동에 몸의 움직임을 맞춰가는 동작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력에 따라 이뤄지는 진자운동이기에 일정한 시간 간격에 따라 몸 전체가 리드미컬하게 좌우 혹은 위아래로 반복해서 움직이게 된다. [중략] 따라서 우리는 케틀벨까지 포함해 페르시안밀, 메이스벨, 케틀벨 이 세 가지를 고대진자운동이라 부를 수 있을 것이다.’ – 김주환, 『내면소통』, 인플루엔셜(2023), 528p

🌀고대운동

고대운동은 말 그대로 그 역사가 기원 전 ‘고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운동들을 말하며, 인간이 생존을 위해 했던 수렵, 채집, 전투 활동과 같은 원형적 움직임과 도구들을 기반으로 합니다.

‘주르카네스포츠, 메이스벨, 스톤, 케틀벨 등과 같은 고대 운동법 역시, 오늘날의 피트니스 문화가 치장하고 있는 복잡한 장식을 하나하나 제거했을 때, 마지막에 남는 가장 원초적인 피트니스 형태이지 않나 생각합니다. 신영복 선생님의 표현을 빌리면 피트니스의 자연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한얼, 2016년 페르시아 원정대 기행문, 소마앤바디 블로그

🌀주르카네(페르시안밀), 아카라(메이스벨), 케틀벨

이란의 주르카네 زورخانه , 인도의 아카라 अखाड़ा 에 남아있는 고대운동 문화는 페르시아와 인도 각자의 고대 서사 문학 기반의 신화적 구성을 바탕으로 합니다. 구성원들은 주로 방망이, 철퇴와 같은 신화 속 전투 장면에서 등장하는 도구들을 그대로 활용해 수 천년간 몸과 마음의 힘을 길러왔습니다. 이러한 전통은 텍스트 보다는 구두 혹은 실습을 통해 전승되 주르카네와 아카라 각각 자신들만의 독특한 방식으로 고대운동 문화를 발전시켜왔습니다. – 김주현, 소마앤바디 고대운동 지침서

케틀벨은 기원전 6세기 이전의 고대운동 도구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습니다. 케틀벨의 러시아어 명칭인 ’기르야(Girya)’는 페르시아어 ’기란(Giran)’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무거운’이라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또한, 고대 페르시아의 운동 방식인 페르시안 밀을 돌릴 때 사용된 표현인 ’기리(Giri)’와도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 한얼, 소마앤바디 케틀벨 지침서

🙏🏻credit.

한얼의 접근 @haneol_approach
김주환 교수 @joohan_kim_lab
방덕 김주현 @persianmeel

RPC² 고대운동 통과의례

🌀Swing Together, Live Stronger

힘의집은 운동의 명상화化, 명상의 운동화化를 위한 시도로 RPC² 고대운동 통과의례를 만들었습니다. 몸과 마음의 힘을 동시에 기를 수 있는 객관적 기준과 함께, 남녀노소 누구나 참여할 수 있도록 단계를 섬세하게 구분하여 제작됐습니다. 이를 통해, 많은 사람들의 몸과 마음이 튼튼해지기를 기원합니다.

RPC²

힘의집 주인장 한얼은 ‘리추얼–프랙티스–챌린지–세레모니’라는 순환적 체험이 몸과 마음을 동시에 단련한다는 개인적 통찰에서 출발해 RPC² 통과의례를 구상했습니다. 페르시안밀은 원형적 리추얼의 몰입을, 메이스벨은 정교한 기술 연마의 중요성을, 케틀벨은 한계를 돌파하는 도전 정신을 일깨워 주었습니다. 여기에 펠든크라이스 메소드가 더해져, 모든 수련의 중심에 ‘알아차림’이 자리해야 한다는 깊은 가르침을 얻었습니다.

흥미롭게도 방망이-페르시안밀은 이란 주르카네 리추얼, 철퇴-메이스벨은 인도 아카라 수련(프랙티스), 무게추-케틀벨은 러시아에서 현대적 스포츠 문화(챌린지), 의식적 도구-알아차림은 펠든크라이스 메소드 ’움직임을 통한 알아차림‘이라는 수업으로 특히 이스라엘에 자리 잡았습니다. 이렇게 전혀 관계없어 보이는 전통과 사상이 RPC²으로 통합되는 모습입니다.

RPC²는 원형적인 도구 및 기능을 활용하는 운동 문화 속에서 성장의 원리를 발견하고 체화하며, 이를 인류학·소마틱스·퍼포먼스 이론과 결합해 통합적인 수련 모델로 제시합니다. 이를 통해 누구나 몸과 마음의 조화를 이루고, 깊이 있는 존재감을 길러 가길 바랍니다.

🌀고대진자운동

페르시안밀 Persian Meels
메이스벨 Macebell
케틀벨 Kettlebell

‘고대진자운동은 가장 강력한 고유 감각 훈련이다. 페르시안밀이나 메이스벨 혹은 케틀벨의 스내치와 같은 고대진자운동은 기본적으로 자연스러운 진자운동에 몸의 움직임을 맞춰가는 동작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력에 따라 이뤄지는 진자운동이기에 일정한 시간 간격에 따라 몸 전체가 리드미컬하게 좌우 혹은 위아래로 반복해서 움직이게 된다. [중략] 따라서 우리는 케틀벨까지 포함해 페르시안밀, 메이스벨, 케틀벨 이 세 가지를 고대진자운동이라 부를 수 있을 것이다.’ – 김주환, 『내면소통』, 인플루엔셜(2023), 528p

🌀고대운동

고대운동은 말 그대로 그 역사가 기원 전 ‘고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운동들을 말하며, 인간이 생존을 위해 했던 수렵, 채집, 전투 활동과 같은 원형적 움직임과 도구들을 기반으로 합니다.

‘주르카네스포츠, 메이스벨, 스톤, 케틀벨 등과 같은 고대 운동법 역시, 오늘날의 피트니스 문화가 치장하고 있는 복잡한 장식을 하나하나 제거했을 때, 마지막에 남는 가장 원초적인 피트니스 형태이지 않나 생각합니다. 신영복 선생님의 표현을 빌리면 피트니스의 자연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한얼, 2016년 페르시아 원정대 기행문, 소마앤바디 블로그

🌀주르카네(페르시안밀), 아카라(메이스벨), 케틀벨

이란의 주르카네 زورخانه , 인도의 아카라 अखाड़ा 에 남아있는 고대운동 문화는 페르시아와 인도 각자의 고대 서사 문학 기반의 신화적 구성을 바탕으로 합니다. 구성원들은 주로 방망이, 철퇴와 같은 신화 속 전투 장면에서 등장하는 도구들을 그대로 활용해 수 천년간 몸과 마음의 힘을 길러왔습니다. 이러한 전통은 텍스트 보다는 구두 혹은 실습을 통해 전승되 주르카네와 아카라 각각 자신들만의 독특한 방식으로 고대운동 문화를 발전시켜왔습니다. – 김주현, 소마앤바디 고대운동 지침서

케틀벨은 기원전 6세기 이전의 고대운동 도구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습니다. 케틀벨의 러시아어 명칭인 ’기르야(Girya)’는 페르시아어 ’기란(Giran)’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무거운’이라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또한, 고대 페르시아의 운동 방식인 페르시안 밀을 돌릴 때 사용된 표현인 ’기리(Giri)’와도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 한얼, 소마앤바디 케틀벨 지침서

🙏🏻credit.

한얼의 접근 @haneol_approach
김주환 교수 @joohan_kim_lab
방덕 김주현 @persianmeel

Shape
Shape